21년도 교육과정 교과목 소개
학생들이 다양한 전기전자분야 전공 영역에서 구체적인 관심 영역과 진출 분야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전기전자분야의 세분화된 영역 및 전공 분야를 소개한다.
본 수업에서는 문제정의, 해결방안 수립 및 평가, 실행, 결과의 관찰등을 통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며, 의사소통 및 팀워크, 그리고 공학인으로서 가져야 할 윤리의식에 대하여 학습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언어 중 전자공학에 필요한 객체지향언어인 C++에 대하여 다루고 실제 프로그래밍 연습을 수행하여 프로그래밍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기회로 해석을 위한 기초적인 방법 및 이론인 직류/교류, 키르히호프 법칙, 직렬 및 병렬회로에서의 회로해석, 테브냉-노튼의 등가회로, 과도현상과 정상상태 응답의 해석과 함께 에너지 저장 소자가 포함된 RL, RC, RLC 회로해석을 위한 1계 및 2계 미분방정식 회로에 대해 살펴본다.
실험을 통하여 기초적인 전기전자 회로이론인 전기회로의 직렬 및 병렬회로, 직류와 교류, 키르히호프 법칙, 테브냉-노튼 등가회로, 과도현상과 정상상태 응답, 그리고 RL, RC, RLC 회로 등에 대한 이론을 확인하고 각종 계측기의 사용법을 숙지한다.
본 강좌는 디지털의 개념과 디지털 논리회로의 해석 및 설계방법들에 대해 강의한다. 디지털 개념, 수 체계 및 이진수, 부울함수, 부울식의 간략화, 논리 게이트, 여러 가지 조합논리회로,플립플롭, 동기식 순차회로의 설계, 동기식 및 비동기식 카운터의 설계, 다양한 레지스터에 대해 강의한다.
전기장 및 자기장에 관한 기초이론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는 벡터이론, 쿨롱의 법칙, 가우스 법칙, 다이버전스(발산) 이론, 에너지 및 전위차, 도체 및 유전체의 전기장에서의 특성, 라플라스 방정식 등을 포함한다.
본 과목에서는 각종 반도체의 물성 및 반도체 소자들에 관한 전기적, 물리적, 광학적인 성질들을 살펴본다. 주요 내용으로 반도체 내 전자 및 정공들의 운동과 제반 현상, 단결정 성장방법, 반도체 공정기술, 반도체접합다이오드, Schottky, 터널 다이오드, 트랜지스터의 구조와 동작 원리 등을 포함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회로이론1 과목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교류회로 해석방법, 페이저(phasor)이론 및 응용, 라플라스 변환 및 s-영역에서의 회로 해석, 파라미터 변환, 공진회로, 푸리에 변환, 주파수응답 및 필터 등에 대해 공부한다.
본 강좌는 각종 디지털 IC의 구조와 사용법, 조합논리회로 및 순차논리회로의 설계와 구현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이와 함께 경제적인 회로 설계 방식과 디지털논리회로 설계능력 향상을 위한 자가 설계 및 제작을 통한 회로 효율성 비교 검토 등을 진행한다.
본 강좌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ARM 코어를 대상으로 하드웨어와 동작원리 등에 대해 알아보고, 임베디드 리눅스 운영 체제의 환경설정, 크로스 컴파일, 사용법 및 응용 프로그램 기법에 대해 다루며 또한 소규모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실습을 수행한다.
전자기학1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전기장 및 자기장에 관한 기초이론을 다룬다. 주요내용으로는 정전용량, 자기장, 자기력, 자성체, 인덕턴스, 맥스웰 방정식, 전송 선로 등을 포함한다.
본 과목에서는 각종 반도체 소자와 반도체 집적회로의 동작 원리와 응용에 대해 다룬다. 또한 최신 반도체 기술 및 동향과 함께 물리전자를 기초로 하여 각종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FET, CMOS, CCD, Thyristor, MEMS등에 관한 동작원리 및 제작기술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배운다.
본 과목은 컴퓨터 알고리즘의 디자인과 분석을 위한 자료 구조의 개념 및 종류 등 기초 원리 및 그를 바탕으로 하는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알고리즘들을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본다.
본 과목에서는 확률의 기본개념, 결합확률, 조건부확률, 독립성 등의 기초적인 확률이론을 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확률변수의 기본 개념, 확률분포함수, 기대값 등을 설명하고, 특성함수, 확률변수의 변환, 다중 확률변수, 랜덤 프로세스 등에 대해 살펴본다.
본 과목에서는 아날로그 신호의 시간 및 주파수 영역 해석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배양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및 시스템에 대한 기초 개념과 함께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 영역 해석을 위한 연속시간 푸리에 급수 및 푸리에 변환과 샘플링 등을 학습한다.
본 과목에서는 기본적인 반도체 전자소자인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BJT / FET)의 구조와 동작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적용한 다이오드 직병렬회로,정류회로, 트랜지스터 증폭기 등의 회로 구조 및 직류 특성, 동작점 설정, 소신호 증폭 등의 이론 및 해석 방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본 과목에서는 전자회로설계1 교과목에서 이론적으로 학습한 정류회로, 클리퍼, 바이어스 및 증폭기 회로 등을 전자 소자를 이용하여 실제로 설계하고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하며, 또한 이를 통해 전자회로설계의 중요 변수인 증폭기 전압이득, 전류이득, 입출력 저항 등의 측정 방법을 익힌다.
본 과목에서는 컴퓨터 하드웨어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학습을 진행하며, 주요 내용으로는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간 인터페이스,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 간 통신방법 및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본 과목에서는 전자기학 1,2 과목에서 학습한 맥스웰 방정식의 복습을 통해 도파관 및 마이크로스트립 등의 초고주파 전송선로의 특성을 이해하며, 수동소자의 해석 및 분석을 위한 S파라미터 사용을 통해 전파모드(TEM, TE, TM, quasi-TEM), 스미스 도표 및 임피던스 정합의 개념을 배운다.
본 과목에서는 기본적인 통신 방식인 아날로그 변조/복조 방식(AM, DSB, QAM, SSB, VSB, PM, FM) 및 송수신기에 대해 학습하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신호해석, 랜덤과정, 기저대역 등가모델 등에 대해 학습하여 아날로그 통신 시스템 분석 및 디지털 통신을 위한 기초를 배양한다.
본 수업에서는 전자회로설계1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트랜지스터(BJT, FET)의 응용 회로인 차동증폭기, 다단증폭기, 연산증폭기 등과 함께 가산기, 전압버퍼, 능동필터, 전력증폭기, 선형 디지털 집적회로, 귀환회로 등의 응용 전자회로의 분석 및 설계 방식을 학습한다.
본 과목에서는 공학 문제에 대한 설계 및 해결 능력의 배양을 위해 이론, 설계, 실험실습을 병행하여 창의적인 설계 목표를 기반으로 작품을 완성해가는 과목으로, 작품개발 전반에 대한 포트폴리오 (제안서, 발표자료, 중간보고서, 결과보고서, 작품)를 만들어야 한다.
본 과목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을 위한 DRAM Memory 및 Refresh 회로, CPU와 DRAM 사이 회로 설계, NOR, NAND Flash memory, Cache Memory, Virtual Memory, Bus,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DRAM, Flash) 사이의 인터페이스 설계 등에 대해 학습한다.
본 과목에서는 학생이 관심을 갖고 있는 전자공학내 연구 분야 및 주제를 교수와 함께 선정하여 학생들의 전자공학 분야 연구 역량 향상을 도모하고 전자공학내 세부 진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이를 바탕으로 졸업 후 취업, 창업, 대학원 및 연구소등으로 진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과목에서는 초고주파 소자 및 회로의 설계에 대한 필요한 이론적인 해석 방법과 회로의 정합 기법 등을 다루며 간단한 시스템 설계 기법과 전파 방사와 전파 원리를 이해하도록 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전기/전자/기계 시스템을 대상으로 제어 시스템의 모델링 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시스템을 해석하는 방법과 함께 제어 시스템의 해석이 가능한 안정도(stability) 판별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본 과목에서는 신호해석 과목에서 학습한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 해석 방법을 기반으로 디지털 신호에 대한 주파수 해석 방법 및 필터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구체적으로 이산시간 푸리에 급수 및 변환, 이산 푸리에 변환, FFT, 샘플링 및 양자화, z-변환, FIR/IIR 필터 해석 및 설계 등을 다룬다.
본 과목은 통신공학에서 배운 아날로그 변복조 방식을 확장하여 디지털 변복조 방식 및 그에 기반을 둔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대해 학습한다. 주요 내용으로 PCM, 정합 필터, 디지털 기저대역 변복조 기법, 오류 정정을 위한 채널 코딩, 데이터 압축을 위한 소스 코딩 등을 포함한다.
본 과목은 전자공학과 학생이 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마련된 창의적 종합설계과목으로 전공 교과목의 이론 등을 적용하여 작품을 기획, 설계, 제작, 보고하는 전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여 산업 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창의적 설계 기술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본 과목에서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개요 및 특성, 발전 동향에 대해 학습한다. MOS 트랜지스터의 전기적인 특성과 구조, 집적회로의 제조공정기술, 마스크패턴의 설계 방법과 법칙 및 회로 추출법, 집적회로내의 R,C 회로 파라미터, MOS 회로를 이용한 서브시스템 설계, SoC 기법 등에 대해 알아본다.
본 과목에서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주요 프로토콜을 계층별로 학습하여 이동통신이나 초고속 전송망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습득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로서 이더넷, 무선랜 등을 공부하고, 네트워크 계층에서 IP 등을 공부하고, 전송계층에서는 TCP, UDP 등을 공부한다.
본 과목에서는 무선 이동 채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 표준의 발전 상황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각 시스템에 적용된 다중접속, 다중안테나, 링크 적응 방식 등의 각종 요소 기술을 살펴보고 이해하여 이동통신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본 강의는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개념과 기술 등 전반적인 이론지식에 대해 학습하고, 심층학습 및 강화학습을 포함하여 기계학습에 대한 주요 개념 및 이론, 핵심 알고리즘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반도체 공정을 위한 용어 이해와 함께 제조과정의 원리와 사용 장비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배운다. 세부적으로 결정성장, 리소그래피, 산화공정, 확산공정, 이온주입공정, 박막증착공정, 금속배선공정 등의 단위공정과 관련된 이론과 기술 및 공정 simulation 기술 등이 포함된다.